공지사항
토목시공 113회 예상문제
[토고및 토질]
제1-1강 전단강도의 정의와 개념
제1-2강 전단실험과 적용성-1
제1-3강 일축압축시험(Unconfined Compressive Test)
제1-4강 삼축압축시험(Triaxial Compressive Test)
제1-5강 성토 댐(embankment dam)의 축축조기간중(성토중),성토직후, 담수시, 정상침투시,수위 급강하시 거동설명
제1-6강 흙댐(제방) 의 안전율(안정성검토)검토방법
제1-6강 [예상문제] 흙댐(제방) 의 안전율(안정성검토)검토방법
제1-8강 사면의 전응력과 유효응력해석(댐,제방등의 성토사면)
제1-9 강 투수성에 따른 모래와 점토지반의 전단강도
제1-10강 전단강도 개념,전응력, 유효응력, 간극수압, 과잉 간극수압
제1-11강 압밀의 원리와 Terzaghi 압밀 모델
제1-12강 전단강도 이론과 현장 적용성
제1-13강 확산 2중층(Diffuse Double Layer)과 점토광물: 점성토의 성질관련
제1-14강 점토광물(Clay materials)
제1-15강~16강 활성도 (Activity)와 점토광물,점성토,사질토의 공학적 성질
제1-16강 점성토,사질토의 공학적 특성(성질)제내용임 1-15강과 동일한 내용임
제1-17강 점성토 의 성질(공학적 특성)
제1-18강 사질토의 성질 과 상대밀도(Dr)
제1-19강 압밀시험,과압밀비,과압밀,정규압밀,과소압밀
제1-20강 다짐관련 이론
제1-21강 Over Compaction (과다짐 = 과압밀=과전압)
제1-22강 유토곡선=토적곡선=Mass Curve
[연약지반]
제2-1강 연약지반 관련 중요한 이론
제2-2강 흙의 전단강도 증가율(α)
제2-3강 한계 성토고(hf),완속재하(단계성토)=연약 지반상의 성토공 안정관리
제2-4강 연약 지반상의 성토 방법의 종류[과재 성토재하: 점증성토와 급속성토]
제2-5강 연약지반 점토의 1차 압밀, 2차 압밀
제2-6강 압밀도와 평균압밀도
제2-7강 재하중공법
제2-8강 선재하(pre-loading)압밀 공법(93용어)= 선행하중공법=선행재하공법
제2-9강 압성토 공법(사면선단재하공법=Loading Berm=Counterweight Fill공법)
제2-10강 프리로딩과 압성토 공법의 차이점
제2-11강 연약지반계측 -압밀침하에 의해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현장에서 시공관리를 위한 계측의 종류와 방법에 대하여 설명(93회)
제2-12강 연약지반상에 성토 작업시 시행하는 계측관리를 침하와 안정관리로 구분하여 그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기술(78회)
제2-13강 연약지반 처리공법중 연직배수공법을 기술하고, 시공시 유의사항을 설명(87회
제2-14강 쓰레기 매립장 침하특성
[토압및 옹벽]
제3-1강 토압의 정의와 개념
제3-2강 옹벽의 안정조건(검토)
제3-3강 돌출부(Shear Key: 전단키)에 대한 안정 검토
제3-4 강 점성토에서 Rankine 토압중 인장균열 발생시 토압 [ 점토지반 개착으로 굴착시 2~3m 정도를 수직으로 굴착 가능한 사유]
제3-5 강 옹벽의 붕괴원인과 대책 (옹벽의 시공대책=옹벽시공시 유의사항)을 배수, 뒤채움,줄눈으로 설명
제3-6 강 옹벽 뒤에 설치하는 배수 시설의 종류를 쓰고 옹벽배면 배수재 설치에 따른 지하수의 유선망과 수압분포 관계를 설명(97회2교시)
제3-7강 석축붕괴원인 과 대책
제3-8 강 대단위 단지공사에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고자 한다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검토 및 코너(corner)부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96)
[사면안정]
제4-1강 사면 안정화 공법 을 위한 조사 및 사면안정성 평가(검토) 방법
제4-2강 사면안정 검토 방법의 종류 와 한계평형이론
제4-3강 원호파괴 에 대한 사면 안전율 일반
제4-4강 포화점토지반위제방성토시 사면안전율 변화
제4-5강 사면안정검토 한계평형법 중 Φ=0(질량법:Mass Procedure) 법과 비배수전단강도(Su 또는 Cu 로 표현)[원호활동에 대한 안전율 검토]
제4-6강 사면안정 해석의 전단파괴 이론(마찰 이론 및 모어 쿨롱 이론)
제4-7강 절편법(분할법)(Method of Slices)
제4-8강 Culmann의 도해법 (평면파괴면을 갖는 유한사면의 해석)
제4-9강 산사태의 정의,원인 및 대책
제4-10강 평사 투영법(Streo Graphic) 이해를 위한 관련 용어 설명
제4-11강 평사 투영법(Streo Graphic) 에 의한 암반 절취사면 안정성 판단 방법 [암반사면의 붕괴 형태]
제4-12강 평면파괴(Planar Failure)
제4-13강 쐐기파괴
제4-14강 쐐기계수(K)(Wedge Factor)
제4-15강 전도파괴
제4-16강 원호 파괴 (Circular Failure)
제4-17강 암반사면의 파괴 형태
제4-18강 토사사면(단순사면)의 붕괴 형태
제4-19강 SMR(Slope Mass Rating):사면등급분류
"제4-20강 사면의 붕괴 원인과 대책=산사태 원인과 대책= 사면활동 요인 과 대책= 대절토 사면 시공시 붕괴원인과 파괴형태,방지 대책
= 지하수가 사면안정성에 치는 영향 : 산사태의 원인"
제4-21강 Land slide 와 Land Creep
제4-22강 비탈면 점검시설 -절성토 비탈면의 점검 시설 설치의 필요성을 열거하고 설치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서술( 62회)
제4-23강 사면계측=사면거동예측=사면유지관리=사면점검=산사태 조사
제4-24강 사면붕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설명 [107회:2015년 8월] [사면유지관리시스템(계측)에 대한 실제현장 사례]
제4-25강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에 의한 사면 계측 기법
제4-26강 광섬유 계측 기법 =광섬유 센서 Cable(Optical senser Cable) 이용 계측 = 분포 개념의 온도 및 변형율 계측 기법
"제4-27강 법면점검시설 및 사면 계측 기출 문제사례문) 암반 사면에서 비탈면 유지관리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 [76회 토질]
① 주요 검사 사항 및 점검 방법
② 비탈면 유지 관리를 위한 계측 시스템을 3가지 이상
비교 검토
③ 계측 시스템 설치 계획 및 선정 시 유의사항"
제4-28강 암반사면에서 구배완화,소단설치이유,안정화에 영향주는 요인
제4-29강 Discontinuity(불연속면)(87회용어)
[암반및 터널]
제5-1강 암반의 분류방법
제5-2 강 TCR(Total Core Recovery):Core 회수율,채취율
제5-3 강 RQD(Rock Quality Designation: 암질지수)
제5-4 강TCR과 RQD [106회 2015년 5월]
제5-5강 RMR(Rock Mass Rating)
제5-6강 Q-System(Rock Mass Quality System)=NGI기준
제5-7 강 RMR과 Q-System 비교
제5-8 강 NATM과 NMT 비교
제5-9 강 우리나라 지질 특성과 중생대 변성작용(지각운동=변동=조산운동)
제5-10강 NATM 의 개념 = 정의,특성,설계시공 원리
제5-11강 1차 지압과 2차 지압=터널 현지 응력
제5-12강 1차 지압(Primary stress, Initial stress)= 1차 응력 =초기지압 = 초기응력=굴착전(시공전) 원지압(잠재지압)
제5-13강 면압권대(면압대:Trompeter Zone) 및 Arching Effect
제5-14강 2차지압 (Secondary Stress, Induced Stress): 굴착후(시공후) 지압= 2차응력=유도지압(응력)=유기지압(응력)=동지압=종국지압=부가지압
"제5-15강 암반반응(반력)곡선(Ground Reaction curve)
=지반 반력 곡선=원지반 응답곡선 =반경방향의 응력저감도"
제5-16강 NATM 터널의 보강공법
"제5-17강 터널의 지보개념=지보재 설치에 따른 응력 거동
[탄성지반의 굴착과 굴착면주변의 응력분포][NATM의 기본 이론"
"제5-18강 보조 지보재 의 설계,시공 원리
[ NATM 터널 안전시공 방법(터널붕괴방지대책)]
-터널지보공인 숏크리트와 록볼트의 작용효과설명[106회 2015년 5월]"
"제5-19강 터널 주변 암반의 크립(creep) 현상
=시간 의존적인 거동(time dependent behavior) "
제5-20강 NATM 터널 안전시공을 위한 계측
"제5-21강 지표침하 5요소 = 지표침하에 의한 피해 5요소
= 지반 운동의 5요소=토지운동 5요소"
"제5-22강 싱크홀(Sink Hole)= 지반함몰(침하)(Trough,sink hole )
-도로(지반)함몰 [107회 2015년 8월]"
제5-23강 특수 지역의 교량 및 도로 구조물 시
"제5-24강 NATM 터널 시공시 1) 굴착 직후 무지보 상태,2) 1차 지보재(shotcrete)
타설후 3) 콘크 리트라이닝 타설 후의 각 시공단계별 붕괴형태를 설명
하고, 터널 붕괴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93회)"
"제5-25강 토피가 낮은 터널을 시공할 때 발생되는 지표침하현상과 침하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94회)
-도로지반 함몰 [107회용어 2015년 8월]
-NATM 터널 막장면 보강공법 설명[107회 2015년 8월] "
제5-26강 NATM 터널 굴진 Cycle [NATM 굴진 공법(방법) = 굴착 공법]
제5-27강 NATM 굴진 공법(방법)[ 굴착 공법] -터널 굴착공법중 굴착단면 형태에 따른 굴착공법 비교설명[107회 2015년 8월]
제5-28강 막장 지지코어 공법(97용어)
"제5-29강 보조 공법(터널 보강 공법, 연약지반 터널 보강 공법)
-터널 천단부와 막장면의 안정에 사용되는 보조 공법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 (95)
-NATM 터널의 막장면 보강공법 설명[107회,2015년8월]"
"제5-30강 NATM에 의한 터널공사시 배수처리방안을 시공단계별로 설명(96)
-터널 시공시 용수대책"
"제5-31강 터널방수 [배수형,비배수형 터널] -NATM 터널에서 방수의 기능(역활)을 설명하고 방수막 주변의 지하수 처리 방법에 따른 방수형식을 분류하고 그 장단점을 기술(78회)
"
제5-32강 NATM 터널 시공시 지보패턴을 결정하기위한 공사전 및 공사중 세부시행 사항을 설명(86회)
"제5-33강 보조 지보재(터널의 보강 공법) -NATM 터널 시공시 지보공의 종류와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하고, 시공상 유의사항(81회)
-NATM 터널 안전시공 방법(터널붕괴방지대책)"
"제5-34강 1 Shotcrete 지보를 적용할수 있는 암반조건 및 효과 ,타설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고 타설 방식의 장단점OK
2 Shotcrete 의 작용효과를 모두 나열하고 각각 설명
3 Shotcrete 의 기능과 시공시 주의사항
4 Rebound 저감대책"
제5-35강 Shotcrete 시공상의 친환경적인 시공대책
제5-36강 터널시공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할과 발생되는 문제점 및 장, 단점에 대하여 설명 (84회
제5-37강 Rock Bolt의 시공효과를 3가지 이상 쓰고 간단히 설명
제5-38강 NATM 공법에 의한 터널굴착시 Rock Bolt와 Shotcrete에 의한 지보방식 기술
제5-39 강 보조 지보재(터널의 암반 보강 공법) 중 강지보공(Steel Rib)
제5-40강 가축성지보(64회)
"제5-41강 터널 라이닝(Lining)과 인버트(Invert) (106회 용어,2015년 5월)
-터널에서의 콘크리트 라이닝 기능(83용어)
-터널의 인버트 정의 및 역할(94용어) "
"제5-42강 장대 터널공사 현장에서 인버트(Invert)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한다
인버트(Invert) 콘크리트 설치 목적(인버트 콘크리트 필요한 경우)과 타설시 유의해야할 사항(콘크리트 치기 순서)(75회)
-터널 공사에 있어서 인버트 콘크리트(invert concrete)가 필요한 경우를 들고, 콘크리트 치기 순서에 대해서 설명 (67회)"
"제5-43강 Lining Con의 균열
-터널구조물 시공중 발생하는 균열원인 과 물처리 공법(57회)
-터널라이닝콘크리트(Linning Concrete) 균열발생원인 및 균열저감방안 설명[105회 2015년 2월]
-기존터널에서 내구성저하로 성능이 저하된 경우 보수방법과 보수시 유의사항 [105회 2015년2월]
"
제5-44강 Face Mapping (터널 막장면 에서의 지질 조사)[93용어,107회용어,2015년8월]
제5-45강 여굴의 원인과 대책 설명(94용어,43, 60, 74)
제5-46강 NATM 터널의 진행성 여굴의 발생원인 열거 하고, 사전예측 방법 및 차단대책(62회)
제5-47강 지불선(Pay Line=수량 계산선)(33,56,75,96용어)
"제5-48강 자유면과 최소저항선,누드지수
-자유면(많게 하는 공법) (44 용어, 36)"
제5-49강 특수발파(제어발파 와 조절발파) -산악지역 터널 굴착시제어 발파에 대하여 기술 (70)
"제5-50강 조절발파(Control Blasting = 신 발파 = 잔벽 발파)
(70,75용어,56, 59, 61, 63 용어, 22, 32, 42, 45, 59, 70)
-터널 갱내 발파나 노천 발파에서 갱도 주벽 또는 최종 사면에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파 방법과 기본 원리
-Line Drilling Method (74회용어)
-Cushion Blasting (63회 용어)
-Pre Splitting(선균열 발파) (56,81용어) "
"제5-51 디커플링 지수(계수)(Decoupling Index: 완충지수)
-Decoupling Effect (공경효과)"
제5-52강 ABS(Aqua Blasting System)
제5-53강 기폭 System (뇌관)의 분류
"전기뇌관(Electric Detonator)
[ Milisecond Detonator(MSD), Decisecond Detonator(DSD)]
-지발 뇌관(전기 뇌관) (21, 47 용어)"
제5-55강 전기 뇌관(전기발파)의 결선(접속) 방법
제5-56강 비전기 뇌관(Non-electric detonator)
제5-57강 심빼기 발파[ 심발 발파:Center Cut Blasting] (52, 68 용어
제5-58강 Bench Cut 발파[계단식 발파= 벤치발파](Bench cut Blasting)(60 용어, 24)
제5-59강 터널 발파시의 진동저감대책(97용어)
제5-60강 발파진동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고, 진동영향평가방법을 설명(87회)
제5-61강 시험 발파 목적, 시행 방법, 결과의 적용(68회)
제5-62강 도심지 발파 작업 재해 원인 대책(공해, 안전)
제5-63강 2차 폭파(소할=조각발파)(Boulder blasting, Secondary blastind)
"제5-64 강 산성암반 배수(ARD = Acid rock drainage)(99용어)
[AMD=Acid Mine drainage=산성광산배수]"
"제5-65강 복솔공법(Bauxol Technology)
(환경 오염 발생 우려 있는 터널 발파 암버력 재활용 공법)"
[기초]
제6-1강 기초의 종류(분류)
제6-2강 평판재하시험 (PBT=Plate Bearing Test)
"제6-3강 평판재하시험 결과이용
-이질 점토층에서 평판재하시험 결과 이용시 유의사항
-평판재하시험시 유의사항[106회:2015년 5월]"
제6-4강 Terzaghi의 수정 지지력 공식[얕은 기초의 지지력]
"제6-5강 얕은 기초의 파괴형태
-전반 전단 파괴, 국부 전단 파괴, 펀칭 파괴(관입전단파괴)
-얕은기초의 전단파괴[107회 :2015년 8월] "
제6-6강 깊은 기초 (기성말뚝기초 및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선정기준 ,종류 와 특징
제6-7강 매입 말뚝 공법 일반
제6-8강 PHC Pile 시공법 및 매입공법
제6-9강 선굴착공법(Preboring)
제6-10강 SIP(Soil Cement Injection pile= Soil Cement Injected Precast Pile = Soil Cement Inserted Pile : 기성말뚝 삽입)
제6-11강 PRD(Percussion Rotary Drill) 말뚝 : 중굴 공법
제6-12강 매입 말뚝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3가지 공법에 대하여 시공법과 유의사항을 기술
제6-13강 기초 조사와 시험[기초 착공전 준비(점검)사항]
제6-14강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N 치 )
제6-15강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상 말뚝 기초 및 케이슨기초 요약[2014년 개정]
제6-16강 깊은 기초(말뚝기초)의 지지력 일반
제6-17강 말뚝의 하중전이 함수(하중전달 함수)
제6-18강 말뚝의 주면마찰력(주면저항)
제6-19강 부의주면 마찰력(Negative Skin Friction)원인 및 대책
"제6-20강 말뚝의 시간효과(Time Effect)( Set up 현상과 Relaxation 현상)
= 타입말뚝 지지력 시간 경과 효과"
제6-21강 CIP(Cast -In -Place – Pile)
제6-22강 토류벽 시공시 CIP 시공의 문제점을 열거하고 대책에 대하여 기술
"06-23제6-23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기초
-장대 교량 기초, 암반, 사질토에 유리한 기초,깊은 굴착, 대구경 기초,제자리 말뚝
-대구경 현장타설 말뚝시공을 위한굴착시 유의사항 및 시공순서와 콘크리트 타설시 문제점 및 대책을 설명
-해안지역, 수심 깊은곳 하구부 교량 가설시 적합한 기초 공법
(우물통+RCD+뉴메틱 케이슨) (19회)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공상원인과 Slime 처리 방법 (73회)"
"제6-24강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의 시공법, 품질관리와
희생강관 말뚝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93회)"
제6-25강 단층 파쇄대의 설치되는 현장타설 말뚝 시공법과 시공시 유의 사항을 설명(86회)
제6-26강 돗바늘공법(Rotator type all casing)(全旋回식 All Casing 공법)(87회용어)
제6-27강 보상기초(Compansated footing or Floating footing)
"제6-28강 Suction Pile (해상 장대교량 기초)
-항만공사용 흡입식 말뚝( Suction Pile) 적용성 및 시공시 유의사항(105회 2015년 2월 ] "
제6-29강 케이슨기초 [2014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요약]
제6-30강 Caisson 기초의 종류별 특징
제6-31강 Open Caisson(우물통=정통) 기초
제6-32강 Open Caisson의 주면 마찰력 감소방법 (침하 촉진 공법)(케이슨의 Shoe)
제6-33강 Open Caisson(우물통=정통) 거치 방법
제6-34강 케이슨 거치(제자리 놓기) 공법 종류 및 거치시 유의사항(36,57)
제6-35강 진공케이슨(Pneumatic Cassion
제6-36강 포인트 기초공법(Point Foundation
[토류벽]
"제7-1강 토류벽 공법의 종류와 특징(토류벽 시공관리 )
-흙막이 벽의 종류(지지구조, 형식, 지하수처리) 및 그 특징을 설명(84)
-토류벽 종류별 특징,효과,각부재역활(지하수,토질조건,재료별,지지방식별)(28회)"
제7-2강 토류벽 종류별 특징,효과,각부재역활(지하수,토질조건,재료별,지지방식별)
"제7-3 토류벽 시공관리(시공시 유의사항)=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 지보형식에 따른 현장 적용 조건 =지하철 붕괴원인과 대책"
제7-4강 계측 일반 (토류벽,터널,사면,연약지반)
제7-5강 토류벽 계측 계획 (토류벽 안전시공)(토류벽 배면 침하 예측방법)
제7-6강 계측기 선정(선택)시 고려사항과 선택(선정)원칙
제7-7강 굴착 흙막이벽의 주요계측항목,계측기기,계측(측정)목적[계측항목별 검토사항]
제7-8강 굴착 흙막이벽의 계측기 설치 위치 선정기준
제7-9강 굴착 흙막이벽의 계측빈도
제7-10강 굴착 흙막이벽의 계측 결과의 분석방법,계측관리방법과 관리기준
제7-11강 흙막이 굴착 공사시의 계측 항목을 열거하고 위치 선정에 대한 고려사항을 설명(88)
"제7-12강 지하굴착을 위한 토류벽 공사시 지반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주변지반거동)
=토류벽 변위의 원인 및 발생하는 배면침하의 원인 및 대책 -흙막이 벽체 주변지반의 침하예측방법 및 침하방지대책[105회:2015년2월]"
"제7-13강 토류벽 시공시 근접시공시 문제점 및 대책 대책
=인접구조물의 피해,민원 , 지하수 처리 (근접 시공시 문제점)"
제7-14강 지하수위 높은곳 토류벽,용수대책,지하수 처리대책,주변지반,지반굴착시 근접구조물 침하 대책 (18,59회)
제7-15강 흙막이 앵커를 지하수위 이하로 시공 시 예상되는 문제점과 시공전 대책에 대하여 기술(89회)
제7-16강 지하철 건설공사 시공시 토류판 배면의 지하 매설물 관리 및 근접 시공 대책
제7-17강 지반굴착(토류벽공사)에 따른 매설관의 침하 및 변형
제7-18강 줄파기(Guide ditch) 및 지하매설물 보호
"제7-19강 지하연속벽( Slurry Wall공법=Cast in Site Diaphragms Wall)
-지하연속벽(Slurry Wall)개요, 사고 요인, 문제점 ,대책, 시공시 유의사항, 벽식 주열식 설명
(24, 48, 51 용어, 43, 45,82용어))
-도심지 지하수위 이하 대규모 차수성 토류벽 (Slurry Wall) (31)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에서 굴착으로 인한 주변 침하를 최소화하고 향후 영구벽체로 이용이
가능한 공법에 대하여 기술 (66)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공상원인과 Slime 처리 방법 (73회)"
제7-20강 슬러리 월(slurry wall)의 내적 및 외적안정
제7-21강 Top Down 공법(역타공법)
제7-22강 토류벽 설계시 검토 및 유의사항
"제7-23강 토류벽 안정성 검토
=토류벽 근접시공의 영향 및 인접구조물 기초의 침하 검토
= 지반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주변지반거동)=흙막이공 주변지반 침하 영향 예측
-흙막이 벽체 주변지반의 침하예측방법 및 침하방지대책[105회:2015년2월]"
"제7-24강 토류벽 설계 (현장 실무에서 구조계산서 및 안정검토 사례)
[ 굴착깊이 17 3m인 토류벽 공사 인 경우,부산구포동 동원로얄듀크 현장]
"
제7-25강 Heaving(융기현상)
"제7-26강 분사현상(Quick Sand, Boling), Piping 안전율(Fs)
"
"제7-27강 Ground Anchor의 분류 와 특징
-정착지지 방식에 의한 앵커(anchor)공법을 열거하고, 특성 및 적용 범위에 대하여 설명(96)"
제7-28강 흙막이 앵커(지반앵커,어스앵커)의 설계 및 시공 일반
"제7-29강앵커의 설계
-흙막이 벽 지지구조형식 중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에서 어스앵커의 자유장과 정착장의
설계 및 시공시 유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93)
-흙막이 벽 지지구조형식 중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에서 어스앵커의 자유장과 정착장의
결정시 고려사항 및 시공시 유의사항[107회:2-15년8월]
-앵커설치 간격/자유장/정착장"
제7-30강 토류벽의 아칭(arching)현상
제7-31강 가물막이
"제7-32강 지반고 편차가 있는 지역에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을 이용한 터파기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대책 설명[2016년 7월 110회]"
제7-33강 토류벽 관련 가설공사 시방서 요약 (버팀보,띠장 설치,해체시 유의사항)
[도로]
"제8-1강 CBR (California Bearing Ratio)
-설계CBR과 수정CBR의 정의 및 시험방법에 대해 설명[106회: 2015년 5월]"
"제8-2강 가요성 포장(Flexible Pavement)와 강성포장(Rigid Pavement)
-Asphalt Concrete 포장과 Cement Concrete 포장 비교
-역학적 개념, 구조적 특성, 포장 형식의 특성비교
-Cement Concrete 포장과 Asphalt Concrete 포장 차이점 (21, 59회)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구조적 특성 및
포장 형식의 특성과 선정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기술 (74회 2교시)
-포장종류(아스팔트포장 및 콘크리트포장)에 따른 하중 전달형식 및 각 구조의 기능 설명(83회3교시)"
제8-3강 가열 혼합식 Asphalt 혼합물(HMA)의 배합 설계
제8-4강 마아샬 시험
제8-5강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파손원인과 대책 (시공관리)
제8-6강 Asphalt 포장 시공관리(상세설명내용)
"제8-7강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워크플로우 예를 작성하고,
시험시공을 통한 포장품질 확보방안을 설명(87회)
-연장 20km인 2차선도로(폭 7 2m 표층 6 3cm)의
아스팔트 포장공사 를 위한 시공계획중
장비조합과 시험포장에 대하여 설명(96)"
"제8-8강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시공순서, 다짐장비 선정(다짐방법),
다짐시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다짐작업시 고려사항과 다짐방법=다짐시에 유의할사항),
다짐 장비의 특성, 평탄성 판단기준, 평탄성 관리방법
"
"제8-9강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에서 포장의 내구성확보를 위한
다짐작업별 다짐장비 선정 과 다짐시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및
마무리 평탄 판단기준에 대하여 설명(94)
-도로,교량의 평탄성 관리 및 평탄성 지수(PrI: Profile Index) "
"제8-10강 아스팔트(asphalt)의 소성변형(95용어)
-중교통 도로 내유동 대책
-아스팔트 포장의 피로 균열(fatigue cracking)=저온균열
-아스팔트 포장의 소성변형 발생원인 및 대책 설명[82회,107회:2015년 8월]"
제8-11강 공용중의 아스팔트포장 균열(97용어)
제8-12강 반사균열(Reflection Crack=균열전달현상)(95,109용어)
"제8-13강 포장 파손 보수방법( 덧 씌우기 전의 보수 방법)
= PSI 평가(공용성지수)와 MCI 평가(유지관리지수)"
제8-14강 포장 보수방법 중 표면처리
제8-15강 Asphalt Con’c 포장에서 Filler (석분, 광물성 채움재)
"제8-16강 콘크리트 포장의 종류별 특징, 시공법
"
제8-17강 콘크리트 포장 설계시 고려사항,종류별 특징
"제8-18강 무근 콘크리트 포장 시공관리(시공시 유의사항)[시공계획]
-장비조합 계획
-기계에 의한 평탄,거친 마무리와 평탄성 관리(PrI) (46, 61)"
제8-19강 무근 콘크리트 포장의 파손 원인과 대책을 줄눈과 양생으로 구분 기술
제8-20강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조인트(83회 용어)
제8-21강 콘크리트 포장의 보조기층의 역할
"제8-22강 무근 콘크리트 포장의 분리막(34,61,71,82용어)
-보조 기층면의 분리막"
"제8-23강 무근 콘크리트 포장의 손상 원인, 형태와 보수 보강 대책
시멘트콘크리트포장 파손 및 보수공법 설명[105회:2015년2월]"
제8-24강 연속 철근콘크리트포장의 공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파괴유형과 그 원인및 보수공법을 설명(93회)
제8-25강 포스트텐션 도로포장(PTCP 공법)(94용어)
제8-26강 RCCP(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88용어)
제8-27강 한국형포장설계법과 AASHTO 설계법 비교
제8-28강 도로설계기준상의 포장설계법 요약(2016년개정)(한국형포장설계법)
[댐]
"제9-1강 댐 유수전환 (Coffer Dam= 가체절 공사 = 댐 공사 가물막이)=전류공
-댐공사에서 하천상류지역 가물막이 공사의 시공계획과 시공시 주의사항설명[106회:2015년 5월]"
제9-2강 유수전환 시설의 폐쇄공 =플러그 콘크리트(Plug Concrete =폐쇄공)
제9-3강 그라우팅의 종류
제9-4강 Dam 기초 처리(기초 암반 보강 공법)
제9-5강 차수Zone의 기초굴착 및 표면처리
제9-6강 블랭킷 그라우팅(Blanket Grouting )(95용어)
제9-7강 Grout Lifting
"제9-8강 Dam 기초 처리[ Grouting] 효과 판정=기초처리 품질 관리
= Lugeon -Test(수압시험=암반 투수 시험)
-중력식 콘크리트 댐에서 Check Hole의 역할 설명[106회:2015년5월]"
제9-9강 Lugeon -Test(수압시험=Water Pressure Test)=암반현장 투수 시험)
제9-10강 특수콘크리트(댐,Mass 등) 시공관리
제9-11강 온도균열지수와 Dam, Mass Concrete
"제9-12강 콘크리트 중력식 댐 공사의 시공설비계획(가설비 계획)
=댐 착공전 준비사항 "
"제9-13강 중력식 Concrete Dam 시공관리=시공대책
=Dam Concrete 생산, 운반, 타설 및 양생방법"
"제9-14강 댐 콘크리트 양생
=인공 냉각법 (Pre cooling, Pipe cooling)"
제9-15강 댐 콘크리트 이음(줄눈)
제9-16강 RCD(RCCD)(Roller Compacted Concrete Dam)(69회)
제9-17강 확장 레이어 공법(ELCM) 과 RCD 비교 [확장 레이어 공법 :98,107회]
제9-18강 필 댐의 형식
"제9-19강 록필 댐(rockfill dam)의 시공계획 수립시 고려할 사항을 각 계획 단계별로 설명(97)
[ Fill Dam 점토 Core 시공시 토취장에서 시공완성 까지 순서와 고려사항]"
"제9-20강 Fill Dam 축제재료
= 필 댐 재료 의 구비조건
= Piping 방지를 위한 Filter 재료의 구비 조건"
제9-21강 Fill Dam 의 차수 Zone (점토Core=심벽) 재료 조건,시공방법, 품질 관리
제9-22강 Fill Dam 및제방의 누수 원인과 방지 대책(96)
제9-23강 Fill Dam의 Piping원인과 Piping 검토방법,방지 대책
"제9-24강 수압 파쇄 = 수압 할렬
= 사력댐(Fill Dam) 심벽의 응력 전이(Stress Transfer) 에 의한Arching 현상
"
제9-25강 Fill Dam제체 및 기초의 안정성 검토
"제9-26강 흙댐 축조의 안전율 변화
= 성토댐의 축조 기간 중에 발생되는 댐의 거동설명 "
제9-27강 침투수력(seepage force) (96용어)
"제9-28강 Fill Dam 과 콘크리트 댐의 안전 점검 방법
(댐의 검사, 유지 관리 및 운영 = 댐 계측) "
제9-29강 검사랑(檢査廊, check hole, inspection gallery)(99용어)
"제9-30강 CFRD (Concrete Faced Rock fill Dam)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 형 석괴 댐]
-CFRD와 죤형 럭필댐 비교"
제9-31강 댐의 프린스(plinth)(101회 용어)
제9-32강 프린스의 설계시 고려사항[댐설계기준 2011년]
제9-33강 CFRD 댐 표준단면의 설계[댐설계기준 2011년]
제9-34강 Fill Dam 의 시공및 유지관리시 계측 (111회)
제9-35강 댐의 종단이음(111회 용어)
[하천및 상하수도]
"제10-1강 하천제방의 누수 원인과 방지 대책
-하천제방의 누수원인을 기술하고 누수방지대책설명[105회:2015년2월]"
제10-2강제방의 측단(101회 용어)
제10-3강 하천제방에서제체재료의 다짐기준을 설명(83회)
제10-4강 홍수에 대비한 유역 종합 치수 계획
제10-5강 홍수피해방지 대책(하천제방의 파괴 원인과 방지 대책)
제10-6강 대규격제방(대제방, 슈퍼제방 super levee)
제10-7강 Levee Effect(제방 효과)
제10-8강 호안 및제방 파괴원인, 대책(홍수피해 방지대책)의 시공적 측면과 치수대책 측면
제10-9강 호안의 종류및 호안공법(구조)의 종류와 호안파괴원인 및 대책, 고려사항
제10-10강 제방누수의제체누수와 지반누수
제10-11강 침윤세굴(seepage Erosion)(101회 용어
제10-12강 호안구조의 종류및 특징(101회 용어)
제10-13강 하천생태 환경호안(환경친화적인 하천공법)(86용어)
제10-14강 자연형 하상보호시설
제10-15강 하상유지시설의 설치 목적과 시공시 고려사항을 설명(97)
제10-16강 낙차공
제10-17강 하천에서 보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를 열거하고 시공시 유의 사 기술(74회) = 하천의 고정보및 가동보(88용어)
제10-18강 하천의 하상을 굴착하는 이유와 하상 굴착시 유의시항
제10-19강 홍수량추정 과 유출 계수
제10-20강 설계강우강도 (도로 표면 배수 시설 설계)(93회 용어 )
제10-21강 유출계수(설계 강우 강도 관련)
제10-22강 합리식
제10-23강 하수처리장과 공정
"제10-24강 용존공기부상(DAF : dissolved air flotation)
[용존공기부상법](95용어)"
"제10-25강 하천변 열차운행이 빈번한 철도 하부를 통과 하는 지하차도를 건설코자 한다,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제적인 굴착공법을 설명(65회)
-기존철도 또는 고속도로 하부를 통과하는 지하차도를 시공하고자 한다 상부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공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중 귀하가 생각할 때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공법을 선정하여 기술 -78회
-도심지 주택가에서 직경 1500mm 의 콘크리트 하수관을 Pipe Jacking 공법으로 시공하고자 한다 이 공법을 설명하고, 시공상 유의사항기술(81회)
-주요 간선도로를 횡단하는 송수관로(직경 2m,2열)시공시 교통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시공법을제시하고 시공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지반은 사질토이고 지하수위가 높음)(86회)"
제10-26강 도시지역의 물 부족에 따른 우수저류 방법과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95)
"제10-27강 비점오염원의 발생원인 및 저감시설의 종류 설명
(105회 : 2015년 2월)"
제10-28강 상하수도 시설물의 누수방지를 할 수있는 방안과 시공시 유의사항을 설명(87회)
제10-29강 하수관거 정비공사
"제10-30강 하수처리시설 운영시 하수관을 통하여 번번히 불명수(不明水)가 많이 유입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 및 침입수 경로 조사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95)
"
제10-31강 하수관의 종류별 특성(100회)
제10-32강 하수관로부설시 토질조건에 따른 강성관및 연성관의 관기초공 설명(111회)
제10-33강 매설관에 작용하는 연직토압
제10-34강 지하매설 Box 의 Arching Effect
제10-35강 관의 강도 계산
제10-36강 대도시 집중호우시 내수피해대책(111회)
제10-37강제방제체의 안정성 평가 방법(111회)
"제10-38강 상수도관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세관및 갱생공사를
시행하고자한다 그에 대한 공법및 대책설명(100회) "
제10-39강 상수도관 갱생공법 (111용어)
[교량]
제11-1강 단순교, 연속교, 게르버교
제11-2강 3경간 연석 철근 콘크리트 교의 콘크리트 타설순서 및 시공시 유의사항 설명 [106회: 2015년 5월]
"제11-3강 철근 콘크리트 휨부재의 대표적인 2가지 파괴 유형 [106회: 2015년 5월]
-정철근과 부철근 (65용어)
-주철근과 전단철근 (68용어)"
"제11-4강 교량설계방법 및 안전율( 도로교 시공시 필요한 안정조건)
-교량의 한계상태(Limit State) 설명[106회: 2015년 5월] "
"제11-5강 교량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교량설계에 적용하는 하중)
-교량등급에 따른 DB,DL 하중 107회 용어[2015년 8월]"
"제11-6 강 교량등급에 따른 DL,DB 하중(107회 용어 2015년)
-표준트럭하중(DB-하중)(77회)"
제11-7강 콘크리트 교량 가설공법의 분류
"제11-8강 FCM 가설공법
=FCM (Free Cantilever Method = 외팔보 = Diwidag 공법)"
"제11-9강 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압출 공법)공법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ILM)을 설명하고,시공순서와 시공상 유의할 사항(81)
-골짜기가 깊어 동바리설치가 곤란한 산악지역에서 ILM 공법시공시 특징과 유의사항 설명 [107회: 2015년8월]"
제11-10강 교번응력(應力交替,stress reversal) : 응력교체
제11-11강 Precast Segment 공법의 가설 공법의 종류와 시공시 유의 사항 (70)
제11-12강 PSM(Precast Segment Method)
"제11-13강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이동식 비계공법:이동식 동바리공법)
-교량 가설 공사에서 가설 이동식 동바리의 적용과 특징에 대하여 설명(67회)"
제11-14강 PFCM (Precast Free Cantilever Method)(인천대교)
제11-15강 FSLM (Full Span Launching Method)=PSM 공법(Precast Span Method)
"제11-16강 현수교(Suspension Bridge)
-자정식 현수교 (82용어)[107회 용어:2015년 8월]
-현수교 케이블설치시 단계별 시공순서 설명[105회:2015년 2월]
-A S (Air Spinning) 공법 (용어정의 기출문제)"
제11-17강 Cat walk(공중 비계)(72 용어)
제11-18강 사장교(Cable stayed Bridge)
제11-19강 Preflex 합성빔(합성형)(34,47,63용어,68용어)
"제11-20강 교량처짐과 Camber
-PSC 장지간 교량의 Camber 확보방안(106회 용어, 2015년 5월)"
"제11-21강 강교 종류별 특징
-강합성교, 강상판 상형교, 강판형교,강합성 상형교 [교량 상부공 형식]"
제11-22강 강교 가조립 공법 분류, 특징, 시공시 유의 사항(59회)
제11-23강 경간장 120m 의 3연속 연도교의 Steel Box Girder제작 설치시 작업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
제11-24강 강교 가설 /가설공법의 종류, 특징 및 주의사항
제11-25강 풍동실험(92용어)
제11-26강 강재의 저온균열(취성파괴), 고온균열 (78회)
"제11-27강 응력 부식(Stress Corrosion) -57회, 74 용어
-강교량의 품질 및 수명에 영향 미치는 인자
-낮은 응력 하에서 파괴 : 취성 파괴, 피로 파괴, 환경 파괴 (응력 부식 = 지연 파괴)"
제11-28강 환경파괴 ,응력부식,지연파괴
"제11-29강 피로파괴, 피로강도,피로한도(피로한계=내구 한계)(46,57,59회)
-강재의 피로 파괴 특성과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설명(82)"
제11-30강 강재의 부식(Corrosion) 기구(부식전지)
제11-31강 강교(강재) 방식 방법(방청방법=발청방지법)
"제11-32강 교량 상부구조물의 시공 중 및 준공 후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방안에 대하여 설명(94)
-교량준공후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방안 설명 [107회 :2015년8월]"
"제11-33강 교량의 부반력 [106회 용어 :2015년5월]
"
제11-34강 교량의 내풍설계와 풍동실험
[항만]
"제12-1강 방파제종류별 비교
-방파제의 종류를 원리별 구분, 특징 시공시 유의 사항"
제12-2강 방파제및 안벽 설계 시공시 검토, 유의 사항 =방파제시공관리
제12-3강 혼성 방파제의 구성요소(61회)
제12-4강 계류시설 과 안벽(계선안)
제12-5강 접안시설((계류시설=계선안=안벽)의 종류를 나열하고 특징을 기술
제12-6강 중력식 안벽
제12-7강 케이슨 안벽(99용어)
제12-8강 널말뚝식 안벽
제12-9강 타이로드 널말뚝안벽[ 강널말뚝식 안벽:Steel Sheet Pile] 시공관리(46회)
제12-10강 강판셀식 안벽(Fabricated Steel Cellular Quaywall)
제12-11강 잔교식 안벽
제12-12강 부잔교
제12-13강 돌핀(Dolphin) (돌핀잔교)(69회,72용어)
제12-14강 디태치드피어(Detached Pier) (이안식)
제12-15강 선양장
제12-16강 Air Cushion정 계류시설
제12-17강 계선부표
"제12-18강 비말대와 강재부식속도(73회 용어)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 방식대책"
"제12-19강 해안 구조물에 작용하는 잔류 수압 (잔류수위)
-널말뚝 안벽에 작용하는 외력"
제12-20강 대안 거리(Fetch)= 취송 거리(Fetch Length)(70용어)
제12-21강 항만공사에서 사석공사와 사석고르기 공사의 품질관리와 시공상 유의할 사항(81회)
제12-22강 경사방파제의 사면 피복석 또는 블록의 안정질량(소요질량)
제12-23강 피복석(armor stone)(78용어)
제12-24강 소파공[62,77,109회(2016년 5월) 용어]
제12-25강 방파제의 피해 원인(84용어)
"제12-26강 케이슨 진수 공법 (잠함 공법)
-방파제공사를 위해제작된 케이슨 진수방법 설명[107회: 2015년 8월]"
제12-27강 케케이슨 거치(제자리 놓기) 공법 종류 및 거치시 유의사항(36,57)
제12-28강 하이브리드 케이슨(Hybrid Caisson) (82회)
제12-29강 준설선의 종류, 특성, 토질 조건에 맞는 준설선(Dredger)
"제12-30강 1 항로에 매몰된 점토질 토사 500,000m3 를 공기 약 6개월내에 준설하고자 한다 투기장이 약3km거리에 있을 때 준설계획
2 준설토의 운반거리에 따른 준설선의 선정과 준설토의 운반(처분) 방법, 토질별 특성, 준설매립시 유의사항"
제12-31강 매립공사 관련 Item [암기사항]
제12-32강 매립계획 및 매립공사의 주요 항목
제12-33강 항만공사시 유보율 [106회 용어 :2015년 5월]
"제12-34강 방조제최종물막이(끝막이)
-점고식,점축식 비교"
제12-35강 항만매립공사에 적용하는 지반개량공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공법의 내용을 기술(81회)
제12-36강 고화재 혼합처리공법에 의한 표층처리 공법
제12-37강 소일마스터공법(표층혼합처리공법)
제12-38강 D C M(Deep Cement Method)= CDM(Cement Deep Mixing) 공법(82회)
제12-39강 초연약 점성토 지반,준설 매립공사 현장,초기장비 진입(Trafficability)을 위한 표층처리 공법
제12-40강 수평 진공배수 공법 (표층처리 공법)
제12-41강 P T M공법(Progressive Trenching Method): 표층처리 공법
제12-42강 대나무 매트를 이용한 초연약지반 호안 및 가설도로의 기초처리공법
제12-43강 연약 지반상 케이슨 시공시 문제점,해상 구조물의 기초공으로 SCP 공법(56,71)
제12-44강 해저 파이프라인(Pipeline)(82회)
[콘크리트]
제13-1강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관리(품질관리)
제13-2강 레디믹스트콘크리트(콘크리트시방서 2009)
제13-3강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강도
제13-4강 일반콘크리트 배합(설계)
제13-5강 배합강도
제13-6강 설계기준강도 (fck)와 배합강도 (fcr) ,증가계수
제13-7강 변동계수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방법)
제13-8강 물-결합재비(W/B) 결정
"제13-9강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하는 방법
= 콘크리트의 시방배합과 현장배합을 설명하고, 시방배합으로 부터 현장배합으로 보정하는 방법"
제13-10강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
"제13-11강 좋은 균질의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완성된 콘크리트의 요구 성질
(콘크리트구조물 열화방지대책=콘크리트 시공관리)"
"제13-12강 콘크리트구조물 열화원인과 방지대책=콘크리트 시공관리[요약]
=균열의 원인과 대책 "
"제13-13강 콘크리트구조물 열화(균열)원인과 방지대책=콘크리트 시공관리[상세 내용] = 내구성 증진대책=좋은 콘크리트 시공 대책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중 시공시(경화전)에 발생하는 균열의 유형과 대책에 대하여 기술(82)"
"제13-14강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원인/보수보강
-콘크리트 교량의 균열에 대하여 원인별로 분류하고 보수 재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명(95)
-콘크리트의 보수재료 선정기준(97용어) "
[총론]
제14-1강 총론(공정관리/공사관리/계약)에서 필수적으로 관리해야할 내용(문제)
제14-2강 공사(시공, 공정) 관리(시공 계획)(전체 요약)
제14-3강 공사 관리 중: 공정 관리 기법
제14-4강 공사 관리 중 : 품질,원가, 환경, 정보화(부실 방지), 기타
제14-5강 입찰 , 계약, 도급
제14-6강 공정 관리(공사 관리 = 시공 관리)의 내용(기능, 목표, 목적)
"제14-7강 공사(공정) 관리 단계와 주요 내용
-통제기능과 개선기능"
"제14-8강 공사의 진도 관리
현장 작업시 진도 관리(follow-up, up-dating)를 위한 시공 단계별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하여 설명(76회)"
제14-9강 공사의 진도 관리 지수 [진도 관리 = Follow Up] 와 공정 관리 곡선(바나나 곡선) (70회 1교시)
"제14-10강 자원 배당 (79회 기출)
-건설공사 공정계획에서 자원배분(resource allocation)의 의의 및 인력 평준화(leveling) 방법(요령)에 대해서 설명 –79회 3교시"
"제14-11강 자원 배당계산문제
다음 Net Work 에서 공정표,일정계산,EST와 LST dp 의한 인력산적표를 작성하고, 가장 적합한 인력 배당을 실시하라 [ ( ) 내는 1일당 인원 ]"
제14-12강 CP(최장 경로 = 주 공정선 = Critical Path)(52, 60, 38회)
제14-13강 공정관리에서 자유여유(free float)[105회 용어 2015년 2월]
제14-14강 MCX(Minimum Cost Expediting): 최소 비용에 의한 공기 단축 공법
제14-15강 Cost slope(비용 구배) (진도 관리 및 공기 단축(MCX) 관련)
"제14-16강 최소 비용에 의한 공기 단축 계산문제
-다음 작업리스트로 Net work (화살선도)를 작성하고 공사완료 기간을 27일로 지정했을 때 추가 투입되는 직접비의 최소금액[ Extra Cost(여분출비)]을 구하라(19회)"
제14-17강 최적 공기, 최적 시공 속도, 시공(공정)의 경제적(시공) 속도(채산 속도)(67 용어 ) [ 진도 관리 및 공기 단축(MCX) 관련]
"제14-18강 공정표의 종류와 특징, 공정표 작성 순서(방법) 설명
공정관리 기법의 종류별 활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적정사업의 유형을 각 기법의 특성과 연계하여 설명 (79회3교시)"
제14-19강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작업분류 체계)(75 용어)[106회용어:2015년 5월]
"제14-20강 건설 사업 관리중 Life Cycle Cost (생애 주기 비용) 개념
-LCC 분석법[106회용어:2015년 5월]"
"제14-21강 VE(Value Engineering)(84용어)
"
"제14-22강 CM
-CM의 주요기본업무중 공사단계별 원가관리에 대해서 설명 [106회 2015년 5월]
-건설 사업 관리(CM = Construction Management) 업무 내용 단계별 설명 (70회)
-CM 형태, 계약 방식 및 업무 수행 절차와 기능
"
이전글 | 제113회 대비 예상문제 |
---|---|
다음글 | 제113회 원서접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