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토목시공 기술사 93회 예상문제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1.02.07

토목시공기술사 예상문제

[ 공개자료실 참고 하실것]

* 한동안 콘크리트 문제 출제빈도가 거의 없다가 최근 갑자기 출제 빈도가 높아 졌습니다
* 물론 새로운 문제는 거의 없었고 , 과거 기출 문제 위주로 출제되었습니다
* 그 외 최근 출제 경향은 특별히 어렵게 출제되기 보다는 평이하고 쉽지만 기출문제
위주로 광범위하게 출제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는 공부량이 많고,열심히한 사람이 합격할수 있도록 함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과거 처럼 쪽집게 문제를 가지고 공부하고 합격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봐야합니다

* 따라서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최근 2009년에 개정된 콘크리트 시방서 중에서 익숙치 않은 용어들이 있습니다
예상문제로서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에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1.순환골재 콘크리트
2. 순환골재(recycled aggregate)
콘크리트를 크러셔로 분쇄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골재로서 입도에 따라 순환잔골재
와 순환굵은골재로 나누어짐
3.프리플레이스 콘크리트
4.팽창 콘크리트
5.강콘크리트 합성구조
6. 급열양생(heat curing)
양생기간 중 각종 열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양생
7.갇힌공기(entrapped air) 와 연행공기비교
1) 갇힌공기: 혼화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속에 자연적으로 포함되는 공기
2) 연행공기(entrained air)
:공기연행제 또는 공기연행작용이 있는 혼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속에 연행
시킨 독립된 미세한 기포
8. 감수제(water-reducing admixture)
혼화제의 일종, 시멘트 분말을 분산시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얻기에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목적
9.결합재(binder)
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을 함유하는 것
10.균열저항성(crack resistance)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균열 발생에 대한 저항성
11.물-결합재비(water-binder ratio, water cementitious material ratio)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굳지 않은 모르타르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 풀 속의 물과
결합재의 질량비(기호:W/B)

12.물-시멘트비(water cement ratio)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굳지 않은 모르타르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 풀 속의 물과
시멘트의 질량비

13.자기수축(autogenous shrinkage)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풀의 체적이 감소하여
수축하는 현상
14. 화학적 침식(chemical attack)
산, 염, 염화물 또는 황산염 등의 침식 물질에 의해 콘크리트의 용해·열화가
일어나거나 침식 물질이 시멘트의 조성 물질 또는 강재와 반응하여 체적팽창에 의한
균열이나 강재 부식, 피복의 박리를 일으키는 현상
15.습윤양생 기간의 표준 (표)



16. 콘크리트 마무리의 평탄성 표준 값 (표)



17.수축·온도철근(shrinkage and temperature reinforcement)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 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가외로 더 넣는 보조적인 철근
18. 온도철근(temperature reinforcement)
수축과 온도 변화에 의한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쓰이는 철근
19. 솟음(camber)
보, 슬래브 및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처짐을 고려하여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것 또는 들어 올린 크기
20. 부립률(float ratio)
경량골재 중 물에 뜨는 입자의 질량 백분율
21. 프리웨팅(pre-wetting)
경량 골재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흡수시키는 조작
22.경량골재의 함수율 관리
(1) 프리웨팅실시
경량골재는 일반 골재에 비하여 물을 흡수하기 쉬우므로,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비비기, 운반, 타설 중에 품질이 변동하기 쉬우므로 충분히 물을 흡수시킨
상태로 사용하여야 한다.
(2) 사전에 흡수시키는 경량골재의 함수율 결정시 고려사항
콘크리트 펌프의 사용 유무 및 압송 조건, 내동해성 등을 고려
(3) 경량골재는 함수율이 일정하도록 저장,
저장 장소는 빗물이 들어가지 않고 물이 잘 빠지며 햇빛이 들지 않도록 한다.
23.균열저감제(crack reducing agent)
콘크리트의 블리딩을 저감시키고, 시공 후 수화과정에서 콘크리트의 결함부를
충전하는 불용성 혹은 난용성 화합물을 생성시켜 소성수축, 건조수축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축균열을 억제하는 기능성 혼화 재료
24. 팽창재(expansive additive)
시멘트 및 물과 함께 혼합하면 수화반응에 의하여 에트린자이트 또는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는 혼화 재료
25. 베이스 콘크리트(base concrete)
①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 배합의 콘크리트
② 숏크리트의 습식 방식에서 사용하는 급결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
26. 자기 충전성(self-compacting ability)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다짐작업 없이 자중만으로 철근 등을 통과하여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균질하게 채워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27. 증점제(viscosity-modifying agent)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혼화제
고유동 콘크리트의 자기 충전 등급
28.고강도 콘크리트(high strength concrete)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0MPa 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27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29. 선행 냉각(pre-cooling)
매스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얼음이나 액체질소 등으로 콘크리트 원재료를 냉각하는 방법
30. 관로식 냉각(pipe-cooling)
매스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내부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묻어둔 파이프 내부에 냉수 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콘크리트를 냉각하는
방법으로 포스트 쿨링(post-cooling)이라고도 함

31.단열온도 상승곡선(adiabatic temperature rise curve)
단열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의 온도상승량을 도시한 곡선으로서 콘크리트
의 수화발열 특성을 나타냄
32. 거듭비비기(remix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지는 않았으나, 비빈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을 경우나 또는 재료가 분리된 경우 다시 비비는 작업
33. 되비비기(retemper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였을 경우에 다시 비비는 작업
34.VC 값(vibrating consistency value)
롤러다짐용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진동대식 반죽질기 시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시험값을 초(秒)로서 나타낸 것
35. RI 시험(RI test)
진동 롤러로 다짐 후 다짐면의 다짐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스토프(Radio Isotope)을 이용하여 다짐도를 판정하는 것
36.그린컷(green cut)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시공할 때 타설이음면을 고압살수 청소, 진공흡입청소 등을
실시하는 것
37. 댐 계측관리
38.수평 환산거리(converted horizontal distance)
콘크리트의 배관이 수직관, 밴트관, 튜브관, 유연성이 있는 호스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을 모두 수평 환산길이에 의해 수평관으로 환산하여 배관 중의 수평관부분과 합한
전체의 거리
39.간만대 지역(tidal zone)
평균 간조면에서 평균 만조면까지의 범위
40.물보라 지역(splash zone)
평균 만조면에서 파고의 범위
41.해상 대기중(marine atmosphere)
물보라의 위쪽에서 항상 해풍을 받으며 파고의 물보라를 가끔 받는 열악한 환경
42.비말대
43. 해양환경(marine exposure)
- 해상부: 해안선을 중심으로 바다 쪽
해수 접촉부위별로 해상대기중, 물보라 지역, 간만대 지역, 해중으로 구분
- 해안지역 :해안선을 중심으로 육지쪽
44.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디스퍼전(polymer dispersion)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제)의 일종으로 수중에 입경 0.05-1㎛의
폴리머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미립자가 고무인 경우를 라텍스(latex),
합성수지의 경우를 에멀젼(emulsion)이라 함
45.시멘트 혼화용 재유화형 분말수지(redispersible polymer powder)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제)의 일종으로 고무라텍스 및 수지 에멀젼에
안정제 등을 첨가한 것을 건조시켜 얻은 재유화가 가능한 분말형 수지

46. 폴리머 시멘트비(polymer-cement ratio, P/C)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시멘트에 대한
시멘트 혼화용 재유화형 분말수지 및 디스퍼전 전 고형분의 질량비
47.휨인성(flexural toughness)
휨인성은 숏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후 하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에너지 흡수능력이라고도 함. 휨인성 결과의 계산은 KS F 2566에 따름